시약 및 기기 상세 [FAQ] Cytokine, Growth factor 그룹별 기능을 알려주세요. Maker : R&D SYSTEMS Cytokine, Growth factor 종류와 각 기능에 대한 안내입니다. 프린트 제품 문의 Cytokine & Growth Factor Families 사이토카인과 성장인자(Cytokines and Growth Factors)는 배아 발생, 세포 증식 및 생존, 분화, 질병 발병 기전 등 대부분의 생물학적 과정에 관여하는 신호 전달 분자입니다.1986년, R&D Systems는 천연 TGF-베타를 처음으로 정제하여 판매했으며, 1988년에는 최초의 재조합 사이토카인 및 성장인자 제품을 출시했습니다. 오늘날 R&D Systems는 엄격한 품질 테스트를 거쳐 높은 생물학적 활성을 유지하고, 로트 간 일관성을 확보한 다양한 재조합 단백질을 제공합니다.Interleukins인터루킨(Interleukins)은 세포 증식, 성숙, 이동, 부착, 분화 및 활성화를 포함한 복잡한 면역 조절 기능을 수행하는 분비성 사이토카인입니다.이들은 서열 유사성, 진화적 관계, 공통 수용체 사슬, 주요 기능 등에 따라 여러 가족family로 분류됩니다.TGF-beta SuperfamilyTGF-베타(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TGF-β) 수퍼패밀리에 속한 단백질들은 다세포 생물의 발생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TGF-베타 수퍼패밀리는 타입 I형 및 타입 II형 serine/threonine kinase 수용체로 이루어진 이형 복합체(heteromeric complex)를 통해 신호를 전달합니다.이 계열의 단백질들은 배아 줄기세포의 자가 재생(self-renewal), 원장 형성(gastrulation), 세포 분화, 장기 형태 형성(organ morphogenesis), 성체 조직 항상성 유지(homeostasis) 등의 세포 과정에 관여합니다.또한, TGF-베타는 종양 촉진(pro-tumor)과 종양 억제(anti-tumor) 두 가지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습니다. Chemokines (케모카인) 화학주성 (chemotactic) cytokine인 Chemokine은 세포 이동, 면역계 발달,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방어적인 면역 반응과 손상성 염증 반응 모두에 관여합니다.케모카인은 N-말단 근처에 위치한 시스테인(cysteine) 잔기의 배열 방식에 따라 CC, CXC, CX3C, XC의 4가지 하위 계열로 분류됩니다. 케모카인은 세포 표면 및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에 고정되기 위해 글리코사미노글리칸(GAGs)과 상호작용하는데, 이 과정이 기능 발현에 중요합니다.또한 케모카인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번역 후(post-translational) 변형으로 시트룰린화(citrullination), 질산화/니트로실화(nitration/nitrosylation), 다양한 효소에 의한 절단(cleavage)이 진행됩니다. FGF(Fibroblast Growth Factors,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FGF는 처음에는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 기능을 통해 발견되었습니다. 인간에게는 총 22개의 FGF 계열 단백질이 있으며, 이 중 18개만이 FGF 수용체(FGFRs)에 작용하는 리간드(ligand)입니다.FGFs는 RAS/MAPK 경로, PI3-키나아제/AKT 경로, PLCγ(포스포리파제 C 감마) 경로를 활성화 시킵니다. EGFs (Epidermal Growth Factor, 상피세포 성장인자) EGF는 세포막에 존재하는 EGF 수용체(EGFR)의 리간드로, EGFR의 세포 내 유입(internalization)과 초기 엔도좀(early endosome)으로의 수송(trafficking)을 유도합니다.EGFR은 다양한 암에서 과발현(upregulation)되어 있으며,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암에 관련이 있습니다. 비소세포 폐암 (non-small-cell lung cancer)전이성 대장암 (metastatic colorectal cancer)교모세포종 (glioblastoma)췌장암 (pancreatic cancer)유방암 (breast cancer) 등 Wnts (윈트 단백질) Wnt 계열의 분비성 성장인자들은 소수성(hydrophobic) 단백질로, 세포 간 접촉 기반 또는 근거리(cell-cell) 신호전달을 매개하는 역할을 합니다.Wnt 신호는 세포 증식(proliferation), 세포 운명 결정(cell-fate specification), 분화(differentiation), 세포 이동(migration) 등의 세포 과정에 중요합니다. 다양한 암에서 Wnt 리간드 및 세포 내 구성 요소의 돌연변이, 증폭, 결실이 자주 발생한다는 생물정보학적(in silico) 데이터가 발표되고 있습니다. IGF (Insulin-like Growth Factors, 인슐린유사성 성장인자)구조적으로는 인슐린과 유사하지만, 인슐린이 대사 활동에 더 중요한 반면, IGF는 세포 운명 결정(cell fate)과 같은 장기적인 생물학적 활동을 조절하는 데 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또한, 췌장의 베타세포(β세포)에서만 분비되는 인슐린과 달리, IGF는 여러 조직에서 생성되며, 정확히 어떤 세포 유형이 IGF를 분비하는지는 아직 규명되지 않았습니다.VEGFs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VEGFs)는 혈관의 형성, 유지 및 재구성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VEGF의 아형 A부터 F까지는 Tyrosine Kinase receptor인 VEGF 수용체(VEGFR) 1, 2, 3에 대한 높은 친화력을 가진 리간드(결합 분자)입니다. VEGFs는 또한 공동 수용체인 Neurophilin-1(NRP1), Neurophilin-2(NRP2), 그리고 heparan sulfate proteoglycans (HSPGs)과도 결합합니다.VEGF 신호 전달은 수용체의 발현 수준, 리간드의 친화도, 공동 수용체의 발현, 비-VEGF 결합 보조 단백질, 그리고 티로신 인산가수분해효소(tyrosine phosphatases) 등 여러 변수에 의해 조절됩니다. CSFs (GM-CSF, M-CSF, G-CSF) 콜로니자극인자(CSFs)는 조혈 성장인자(hematopoietic growth factors)로도 알려져 있으며, 현재까지 네 가지가 알려져 있습니다. 여기에는 과립구-대식세포 콜로니자극인자(GM-CSF), 대식세포 콜로니 형성 자극인자(M-CSF), 과립구 콜로니자극인자(G-CSF), 그리고 다기능 콜로니자극인자로 인터루킨-3(IL-3)으로도 알려진 multi-CSF가 포함됩니다.CSF는 여러 기능을 가진 당단백질(glycoprotein)로, 그 기능에는 세포 증식 촉진, 세포자멸사(아폽토시스) 억제, 성숙 유도, 분화 촉진 등이 있습니다. TNF (Tumor Necrosis Factor Superfamily)종양괴사인자(TNF)는 처음에는 종양 괴사를 유도하는 혈청 인자로 설명되었지만, 현재는 다양한 면역 및 염증 질환에서 치료 표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TNF는 염증, 자가면역, 조직 퇴행, 종양 발생 등에서 병리학적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재생, 재수초화(remyelination), 조직 재구성(remodeling)과 같은 항상성 유지 기능도 수행합니다.IFNs (Interferons, 인터페론)인터페론(IFN)이라는 용어는 1957년에 처음 사용되었으며, 바이러스 간섭(viral interference)의 원인이 되는 “비-적혈구응집성(non-haemagglutinating) 고분자 입자”를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현재 알려진 22종의 인터페론은 I형, II형, III형의 세 가지 종류로 나뉩니다. 모든 인터페론 종류는 항바이러스 효과를 공유하지만, II형 인터페론(IFN-감마로만 구성됨)은 항암 치료의 표적으로도 활용됩니다.BDN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뇌유래신경영양인자)BDNF는 신경영양인자(neurotrophin) 계열의 성장인자에 속하며, 이 계열에는 신경성장인자(NGF), 신경영양인자-3(NT-3), 신경영양인자-4/5(NT-4/5)도 포함됩니다. BDNF에는 여러 isoform이 존재하며, 여기에는 pre-pro-BDNF, pro-BDNF, 성숙한(mature) BDNF가 포함됩니다. Pre-pro-BDNF는 골지체(Golgi apparatus)에서 신호 서열(signal sequence)이 절단되어 pro-BDNF가 생성됩니다.Pro-BDNF에 의한 신호전달 반응은 신경세포의 운명 결정, 발달, 분화와 관련이 있으며, 성숙 BDNF에 의한 신호전달은 신경 가소성(plasticity), 신경 성장, 수상돌기 가지치기(dendritic branching)와 관련되어 있습니다. SCF (Stem Cell Factor, 줄기세포인자) 줄기세포인자(SCF) 또는 c-kit 리간드(KL)는 널리 발현되는 성장인자로, c-kit 또는 Kit이라 불리는 III형 수용체 티로신 키네이즈에 결합하여 MAPK, PI3K/AKT를 포함한 여러 신호전달 경로를 활성화시킵니다.SCF는 가용형(soluble)과 막관통형(transmembrane) 두 가지 형태로 존재하며, 이들의 조절은 mRNA와 단백질 수준에서 이루어집니다. Flt-3 리간드와 유사하게, SCF는 전구세포 또는 줄기세포의 증식을 자극합니다.c-Kit의 과활성화는 백혈병 및 위장관 기질종양(GIST)의 발생과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GIST는 가용형 SCF를 생성합니다. Flt-3 리간드 (Flt-3 Ligand) Fms 유사 수용체 티로신 키네이즈 3 리간드(FLT3L)는 조혈 사이토카인(hematopoietic cytokine)으로, 수지상세포(dendritic cell) 성장 인자로 기능하며, 백혈병에서 돌연변이나 과발현되는 경우가 자주 있습니다.FLT3L은 SCF 및 CSF-1과 구조적으로 유사하며, Flt3(Fms-like tyrosine kinase 3)를 통해 신호를 전달합니다. Flt3는 class 3 수용체 티로신 키네이즈 수용체입니다. 하위 신호전달 인자로는 SHC, Grb2, Gab2, SHIP, 그리고 Ras/MAPK, PI3K, STAT 경로 등이 포함됩니다. LIF (Leukemia Inhibitory Factor, 백혈병 억제 인자) LIF는 IL-6 계열의 사이토카인으로, 1980년대 후반에 클로닝되었습니다.재조합 LIF 단백질은 줄기세포 배양 배지에서 배아줄기세포의 전분화능(pluripotency)을 유지하기 위한 성장인자로 자주 사용됩니다.또한 LIF는 전구세포의 증식을 자극하지 않으면서, 마우스 M1 골수성 백혈병 세포에서 대식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이러한 특성 때문에, LIF는 한때 백혈병 치료 표적으로 큰 주목을 받았으나, 이후의 연구들은 LIF가 실제로는 매우 다면적인(pleiotropic) 작용을 한다는 사실을 보여주었습니다. 주문정보 견적문의 제품담기 주문정보 - Cat No, PRODUCT, SIZE, 수량 등 항목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Product Cat.No. Size Maker Qty Data Sheet MSDS 추천제품 관련제품 견적문의 제품담기 주문정보 - Cat No, PRODUCT, SIZE, 수량 등 항목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Product Cat.No. Size Maker Qty Data Sheet MSDS 자료 웨비나/Video